걷기운동과 보폭 넓혀걷기 '10Cm 더' 효과

    운동 중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것이 걷기 운동 아닐까요.

    다른 운동과 비교하면 준비할 것도 적고, 비용도 거의 안 들이고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겠죠.

    걷기는 일상생활 속에서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며, 두 다리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는 생활 속 운동입니다.

     

    저 역시 요즘 걷기운동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갯바위나 바위산 등 험한 곳도 많이 다녔지만 이제는 과거형이 되었군요.

    아.. 계속 못 다닌다는 것이 아니라 건강상 문제로 당분간 못 가는 것이니 오해는 마세요.^^

    회복되면 또 부지런히 다녀야 겠지요.

     

    쉽고 편하게 생각했던 걷기 운동, 결코 만만치 않습니다.

    운동이라 생각하니 자세 하나하나에 신경이 쓰이고 걷는 방법도 연구하게 되고, 날씨도 신경 쓰이고... 하여튼 접근은 쉽지만 꾸준히 유지한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네요.

    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하는 모든 운동이 그렇겠지만요.

     

     

     

    걷기운동 방법/효과

    네이버 지식백과에 걷기운동과 관련된 도움되는 내용이 있어 본문 내용 중  발췌, 인용해 봅니다.

    걸을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 머리를 세운 자세를 유지하며 팔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가볍게 흔들면서 걷는다. 걷기운동을 할 때 발을 딛는 요령은 발 뒤꿈치가 먼저 땅에 닿게 하며 발 앞꿈치로 지면을 차듯이 전진하는 것을 반복하면 된다.
    걷기 운동 시 보폭은 평상시보다 약간 넓게 하고 속도는 속보로 걷는 것이 체력증진이나 심장과 폐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걷기는 속도에 따라 평보, 속보, 경보로 구분된다.
    평보는 1시간에 4km(보폭 60~70cm) 정도의 속도로 걷는 것이고, 속보는 1시간에 6km(보폭 80~ 90cm), 경보는 1시간에 8km(보폭 100~ 120cm) 정도로 걷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보의 보폭은 자기 키에서 100을 빼면 된다.

    일정한 걷기 프로그램을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건강의 이점이 있는 데 특히 걷기는 칼로리를 소비하는 데 더없이 좋은 운동이다.
    체중조절을 위해서라면 길고 느릿한 걷기가 짧고 빠른 달리기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기억하라. 자신의 페이스에 맞춰 장시간 걷는 것이 좋다.
    체중감량은 당뇨병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하며 약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게 할 뿐만 아니라 규칙적 걷기는 노화 진행을 늦추게 하며 근육, 뼈와 관절을 강하고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걷기의 건강학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보폭 넓혀걷기

    TV 프로그램 중 보폭 넓혀걷기 장점에 대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KBS "생로병사의 비밀" 내용 중 10Cm 더 보폭을 넓혀 걸으면 자세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방송이었죠.

    걷기운동에 매진하던 시기라 주의 깊게 봤던 기억이 나네요.

    각계 전문가 인터뷰와 실제 보폭 넓게걷기 방법으로 건강을 회복한 다양한 사례, 올바른 걷기 자세와 효과에 대한 검증 등 도움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더불어 보폭 넓게걷기와 관련된 "걸음아  나살려라 10Cm 더" 어플도 관심이 집중되었었죠.

    저 역시 어플을 설치하고 걷기에 적용하려 노력하고 있네요. 약간의 오류도 있지만 사용하는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보폭 넓혀걷기 생각처럼 쉽게 되지는 않습니다.

    익숙해지기 전 까지는 중심도 기우뚱하고 뭔가 많이 어색하지요.

    효과에 대해서는, 일부러 신경 써서 그런지 자세가 좋아진 것 같다는 느낌은 확실하네요.

    자라목과 구부정했던 자세가 펴졌다고 주변에서 놀랍니다.

    보폭 넓게걷기 효과인지, 일시적 현상인지 계속 신경 써서 운동해 봐야겠습니다.

    정말로 운동의 효과라면 다시 한번 올리겠습니다.

    건강하세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